주요 과일 및 채소의 산화방지제에 주는 생산 및 가공인자의 영향(Effects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tors on major fruit and vegetable antioxidants)
- 전문가 제언
-
□ 산화방지제란 그 용도와 기능에 있어서 흔히 쓰이는 플라스틱에서와 마찬가지로 과일이나 채소에 존재하는 천연상태의 비타민C나 카로티노이드 및 페놀류가 분자구조에 이중 결합이나 히드록실기가 존재하여 외부로부터 열이나 햇빛 등에 의한 산화영향을 가할 때 산화방지제들이 먼저 산화반응을 당함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 인체도 마찬가지로 외부환경에 의해 신체조직에 산화를 당할 수 있으며 이때 우리가 섭취한 과일이나 채소에 적당량의 산화방지제가 음식을 통해 섭취되어 인체 내의 세포 등의 조직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면 똑같은 원리로 인체의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건강이 유지되고 결과적으로 노화가 느리게 진행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생선의 종류에 따라서도 DHA나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이 서로 다르듯 과일과 채소에도 비타민C, 카로티노이드 및 페놀류 산화방지제 함유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선택에 신경을 쓰면 건강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고 저장이나 가공은 산화방지제의 손실을 다소 가져오는 요인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신선한 상태로 섭취하는 지혜가 필요할 것이다.
□ 노령화시대의 도래, 질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인 비용의 증가 등을 감안할 때 건강보호효과를 주는 과일이나 채소를 즐김으로써 산화로 인한 스트레스 영향으로부터 해방되고 우리민족 고유의 원예 산업이나 과수산업이 재차 본궤도에 오르도록 범정부적인 장려와 시민운동의 전개가 요망되는 분야이기도 하다.
□ 이 글은 인간의 발병과 노화현상발생에 대한 대책의 하나로 시금치, 딸기, 브로콜리, 토마토 및 녹차와 같은 비타민C와 카로티노이드 및 페놀류 항산화제가 대표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과일 및 채소가 재배과정이나 취급 및 저장과 가공과정에서 항산화제가 본래의 함유량을 어떻게 유지하고 소실하는지를 자세히 정리한 것으로 일반인들이 자기건강을 위해서도 한번은 읽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며 원문을 홍보용 책자로 번역하여 사용해도 좋겠다.
- 저자
- Kalt, W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5
- 권(호)
- 70(1)
- 잡지명
- Journal of Food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1~19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