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분의 건강관련 상호작용(Health-related interactions of phytochemicals)
- 전문가 제언
-
□ 최근 신 약물개발이 가속화되고 강력한 가능성이 있는 “독성약물”의 수가 엄청나게 증가함에 따라 합리적인 약물 상호작용연구의 design이나 양성적 상호작용기전을 좀 더 잘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되었다.
□ 약물대사를 통한 약물 상호작용기전을 규명하는 능력은 최근 엄청나게 향상되었는데, 이는 새로운 분자 분석기구가 확보되고 약물대사과정에서의 생화학적 지식이 많이 확대된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대사적 약물상호작용이 수많은 약물대사효소의 하나에 의해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그 대부분은 시토크롬 P-450효소 family와 관련되어 있으며 기질에 따라 특이적인 수많은 동종효소(isozymes)들이 발견되어왔다. 더 복잡한 scenarios가 in vivo에서의 약물상호작용의 양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효소로부터 주대사산물의 형성,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효소에 의한 다수의 대사산물의 형성 및 약물 배설에 있어서의 비효소적 반응 등을 포함한다.
□ 본인의 연구팀은 약물대사효소에 변동을 초래하는 생약의 성분규명을 목적으로 한방에서 빈번히 처방 투약되고 있는 생약류 150여종과 향신료 산채 등의 알코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검색을 실시한 결과, 적어도 약 30%가 간의 시토크롬 P-450 효소계에 변동을 초래할 수 있다는 실험결과를 얻었다. 이 검색 결과들을 토대로 활성물질 규명을 시도한 결과, 대표적인 예로 강활(姜活)의 뿌리로부터 강력한 약물대사효소 억제물질로서 6종의 furanocoumarin을 비롯하여 후추, 육두구, 아술 등으로부터 수종의 효소 억제 및 유도물질을 규명 보고한 바 있다. 또한 생약에 따라서는 그 추출물이나 분획물에서는 뚜렷한 약물활성이 발현되나 그 함유성분을 순수 분리하여 동일한 활성을 측정했을 때에는 오히려 활성이 감소하거나 불활성화 되는 현상도 관찰한 바 있다. 이 결과들은 이러한 약물대사 억제 또는 유도물질을 함유하는 전통약물이나 건강보조식품과 합성약물을 동시에 투여했을 때는 약물의 약효 또는 독성을 현저히 변동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며, 앞으로 그 상호작용기전 특히 양성적 상호기전이 좀 더 명확하게 밝혀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Lila, MA; Raskin, 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5
- 권(호)
- 70(1)
- 잡지명
- Journal of Food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0~27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