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양성 천연물(Marine natural products)

전문가 제언
□ 노령인구의 증가, 공해와 환경호르몬, 식생활의 고급화에 따른 지방의 과다섭취 등으로 난치성 만성성인병이 증가일로에 있음에 비추어 신 기능성물질이나 대체약물 개발의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합성의약품이나 수많은 기존의약품들에 비해 해양천연물이 그 생식환경 면에서 인체에 가깝고, 생체 내 기능에 친화력이 큰 다양한 성분상을 이루고 있고, 그 생리활성은 다양하며 비교적 독성이 미약하고 복잡한 생체의 기능을 유지시키고, 악화된 기능을 정상화시키는데 성분들이 상호보완적인 작용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그 개발가치가 높다고 본다.

□ 해조류는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고 칼로리가 거의 없어 성인병 예방 및 비만 방지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잎, 줄기, 뿌리의 구별이 확실치 않고 잎과 뿌리 부분으로 나뉘는 바다 속의 영양 식물이며, 잎의 색깔에 따라 갈조류, 녹조류, 홍조류 등으로 분류한다. 본인의 연구팀은 선행연구를 통해 일부 해조류로부터 강력한 당뇨병 합병증 억제효과와 간 보호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의 일부가 밝혀졌지만 해양생물이 가지는 다양한 화학구조를 고려해 볼 때 무한한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으며, 국내의 해양생물연구 수준의 향상과 기능성 건강식품의 범위를 확대하는 차원에서도 시급히 요구되는 사항이다.

□ 육상천연물은 그 성분의 다양성에 비추어 새로운 생리활성성분이 끊임없이 연구 보고되고 있으나 육상천연물 못지않게 해양천연물 또한 그 종류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그 기원연구나 자원 확보의 어려움 때문에 그 활성과 활성성분의 연구는 매우 불확실하고 아직도 요원한 단계에 있다. 더구나 해양천연물성분은 그 성분상이 육상천연물성분과는 상이한 점이 많으며 그 생리활성이나 약효에도 차이를 보일 것이 예상된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해양천연물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부작용이 없고 우수한 신의약품의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연구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Blunt, JW; Copp, BR; Munro, MHG; Northcote, PT; Prinsep, M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22(1)
잡지명
NATURAL PRODUCT REPORT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5~61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