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간화합물 AuCl과 AuCl3 나노-결정과 나노-선 네트워크(Direct solution synthesis of intermetallic AuCu and AuCu3 nanocrystals and nanowire networks)
- 전문가 제언
-
□ 나노-결정의 합성을 조절하는 것은 나노기술 응용과 나노미터 크기 상황에서 구조, 성질 및 크기 간의 기본적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필수 요건이다. 지난 몇 년간 이 분야에 상당한 발전이 이루어졌고 물리적 성질과 같이 나노-결정의 구조와 형태를 관련짓는 능력이 새로운 수준으로 이해되어 새로운 구조, 성질, 장치배위 및 공업기술의 발전이 시작되고 있다. 합금과 금속간화합물을 포함하는 다-금속 고체상태 물질은 미래응용에 중추적 역할이 기대되므로 나노-결정에 특별한 흥미를 자아낸다.
□ 금속간화합물 FePt 나노-결정은 높은 보자력(coercivity)을 갖는 강자성이며, 미래 고밀도 자기저장장치를 위한 유망한 후보물질이다. 혼합물인 많은 합금 나노-입자들은 고도 활성촉매로 알려졌고, 순수한 물질인 몇몇 관련된 금속간화합물은 벌크물질로서도 높은 촉매활성도를 보이고 나노-척도 촉매를 위한 우수한 후보물질이다.
□ 조절된 모양과 크기를 갖는 고품질 나노-결정을 합성하기 위한 성공적 전략은 반도성 양자-점, 산화물, 황화물 및 단순금속에 집중된다. 다-금속 물질이 관계되는 많은 합금 나노-입자들이 알려졌지만, 금속간화합물(intermetallic) 나노-결정은 드물었다. 금속간화합물 FePt 나노-결정은 보통 자주 합성되었고 금속간화합물 FePd, AuAg 및 CoPt 나노-결정들도 보고 되었다.
□ 최적 용매의 선택은 질서화 된 금속간화합물을 한-포트반응의 직접 용액합성법으로 고품질 나노-결정을 얻을 수 있게 하고, 이는 유사한 연구개발을 활성화 시키는 지평을 마련했다. 특히 구조, 크기, 모양 및 조성을 동시에 조절능력은 금속간화합물 나노-결정에 대한 새로운 획기적인 개가로 여러 가지 미래 응용분야에 무한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실례로서 질서화 된 금속간화합물의 나노-결정화의 양자 점 효과는 반도체의 에너지 갭을 결정의 나노-크기로 조절이 가능하며, 이는 빛의 흡수와 방출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광학적 실용성을 증대 시킨다.
- 저자
- Sra, AK; Ewers, TD; Schaak, R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5
- 권(호)
- 17(4)
- 잡지명
- Chemistry of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58~766
- 분석자
- 여*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