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의 구조유전체학(Structural genomics of GPCRs)
- 전문가 제언
-
□ G단백질 결합 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 GPCR)는 제약산업에서 전 세계 약제개발(藥劑開發)의 60~70%를 차지하고 있으나 GPCR의 발현(發現), 정제(精製) 및 결정화(結晶化) 과정에 어려움이 직면하게 됨으로써 GPCR에 대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 현재 이에 대한 지식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약물개발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특히 GPCR의 구조유전학(構造遺傳學)에 제한적 지식으로 효과적인 해결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므로 이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요망된다.
□ GPCR 연구에서 구조유전학 발의는 단백질의 발현, 정제 및 결정화에 폭넓은 전문기술(專門技術)을 요하므로 제약개발의 효과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인 기능적(技能的)인 면으로 볼 때 국가적 네트워크 형성은 물론이고 국제적 네트워크 형성을 통하여 상호협력체계(相互協力體系)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 약물개발산업(藥物開發産業)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GPCR 구조에 관한 연구논문이 현재까지 알려진 것이 별로 없기 때문에 세포질막(Plasma membrane)이 비효율적으로 이동, 삽입하는 숙주세포(宿主細胞)에 대한 독성영향(毒性影響)과 불안정성(不安定性)으로 양(量)적, 질(質)적으로 충족될 수 있는 GPCR 생산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제과정(精製過程)에서 수득률(收得率)과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세정제(洗淨劑) 사용에 대하여 연구 검토하여 수득율과 안정성에 긍정적 영향이 미치는 세정제에 관한 대안이 필요하다.
- 저자
- Lundstrom, 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5
- 권(호)
- 23(2)
- 잡지명
- Trends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03~108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