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질전환 식물의 유전자 적체(Gene stacking in transgenic plants - the challenge for 21st century plant biotechnology)
- 전문가 제언
-
□ 21세기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가 큰 기대와 전망 속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이유는 요구가 크기 때문이다. 그 요구는 장기적으로, 또 근본적으로는 식량문제에 있지만 의료, 보건 문제, 환경문제 등에 큰 공헌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기 때문이다.
□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 식물 형질전환 분야가 해결해야 할 문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기술(technology)의 문제이다. 특히 여러 개의 도입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기술은 아직 초보 단계에 있고 이 기술의 향상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둘째는 유전자 조작 식품에 대한 일반 대중의 부정적 인식에 대한 문제이다. 후자의 문제는 정부의 관련 규제 법규의 문제와 연관된 문제이다. 이것은 물론 각 나라마다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복잡한 성격의 문제이기도 하다. 또 한 가지 다른 문제는 전통적으로 농업이라는 분야가 다른 산업과는 달리 경제적으로 또 기업 경영의 관점에서 크게 매혹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현재 미국 등 몇몇 나라에서 유전자 조작 기술이 실용화 되어 옥수수, 목화, 대두 등의 몇몇 형질전환 작물이 이미 상당한 비율의 경작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경향이 중국, 인도 같은 나라에 보급될 전망이다.
□ 이러한 장래 전망에 대한 근거는 거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에 있다. 여러 가지 대상 작물 이외에도 적용할 수 있는 많은 경제성 식물들이 있고 또 그보다도 더 많은 대상이 될 수 있고 향상될 수 있는 식물의 형질(trait)들이 있기 때문이다.
- 저자
- Halpin, 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5
- 권(호)
- 3(2)
- 잡지명
- PLANT BIOTECHNOLOGY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41~155
- 분석자
- 강*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