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의 독특한 과학적인 이해(Understanding the odd science of aging)
- 전문가 제언
-
□ 노화는 나이가 들면서 신체의 구조와 기능이 점차 저하되고 질병과 사망에 대한 감수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쇠약해지는 과정이다. 노화에 관한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하나는 우리 몸 안의 유전적인 프로그램에 따라 사람마다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신체의 성장 및 발달과정이 조절되어 노화가 진행된다는 것이다.
□ 다른 생각은 살아가면서 외부 또는 주위 환경의 영향에 의해 세포나 세포의 분자가 신체 기관과 같이 마모되면서 손상을 입어 피해가 축적되어 몸이 점진적으로 생리적인 저하와 기능을 잃어 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 나이가 들면서 동맥경화, 암, 치매 등 각종 질병이 많아지는데 이들 성인병이나 노인 질환의 발생은 순수한 의미의 노화와는 다르나 이 같은 질병은 나이가 들어 신체의 전반적인 활력이 떨어지고 모든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 세포의 단백질 합성 능력이 감소하고, 면역 기능도 저하되며 근육의 감소, 시력의 감퇴, 골 밀도의 감소 등 전반적인 세포 수와 근력의 감소로 이어진다.
□ 노화가 세포수준에서는 분열을 할 때마다 염색체의 말단이 감소하는 사실과 노화의 관계가 있음을 알고 있으며 돌연변이의 축적으로 다형성발현이 생기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다. 다만 노화가 유전자에 의한 프로그램에 따라 진행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열량을 제한함으로써 노화를 늦추고 장수할 수 있는 동물 시험이 있으며 호르몬이나 활성물질이 노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오고 있다.
□ 노화는 질병에 의한 비가역적인 현상이 아니라 회복될 수 있고 예방할 수 있으며 치료가 가능하리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아직은 노화를 막고 치료의 부작용을 완전히 체거할 수는 없지만 의학의 발전과 개인의 노력으로 늙어서도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길이 있기를 바란다.
- 저자
- Kirkwood, TB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5
- 권(호)
- 120(4)
- 잡지명
- Cel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37~447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