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의 유연성:장수돌연변이체의 고찰(The plasticity of aging: Insights from long-lived mutants)
- 전문가 제언
-
□ 우리는 흔히 노화과정이나 노화성 질병발생에 있어서 상당한 개인차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듯이 역시 복잡한 노화과정에 있어서도 상당한 유연성이 탄력적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생체조직이 생리학적, 물리화학적반응메커니즘상의 경로에 작용하는 유전자변화를 잘 받아들이게 함으로써 놀라울 정도의 수명연장이 가능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장수조절module에서 고찰할 때 수명과 관련한 여러 인자에서 가장 위에 존재하는 것은 daf-2수용체이고 바로 아래쪽경로에 있는 유전자는 DAF-2/FOXO이며 이것이 바로 아래의 경로에 있는 산화방지유전자를 비롯한 여러 유전자들에 관여하여 수명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거의 정설로 알려졌다.
□ Harman에 의해 1956년에 제기된 세포내의 자유기이론(Free radical theory)은 50여년에 걸친 여러 학자들의 연구결과 미토콘드리아 신진대사, ROS의 생성 및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저항 등이 노화에 영향을 주게 됨을 밝히고 이 ROS가 조직의 세포분자를 손상시킴으로써 노화를 촉진한다는 사실도 밝혀진 바 있으나 이와 관련하여 아직도 명쾌하게 규명되지 않은 부분도 있다.
□ 노화에는 insulin/IGF-1경로의 단계적인 신호체계와 이와 관련된 수명조절module에 관여하는 여러 조절유전자들의 영향, 스트레스나 감응인지유전자들의 영향, dietary restriction, calorie restriction 등의 영향, ROS생성 등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하겠다.
□ 이 글은 세포에 존재하는 여러 장수돌연변이체들이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지금까지의 발표된 내용들을 정리한 것으로 모든 장수돌연변이체들이 노화에 탄력적인 영향을 주고 있고 생체조직이 이러한 유연한 변화를 잘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어 이를 근거로 인간의 수명연장이 가능하도록 인류가 도전하지 않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설명하기 때문에 우리에게도 도움 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 저자
- Kenyon, 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5
- 권(호)
- 120(4)
- 잡지명
- Cel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49~460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