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과알루미나 규장질 화성암 내 홍주석의 발생과 성인(Occurrence and origin of andalusite in peraluminous felsic igneous rocks)

전문가 제언
□ 홍주석은 이질혼펠스에 특히 많고 중변성도(흑운모, 석류석대)의 저압형 광역 변성암이나 화강암, 페그마타이트, 반화강암에도 산출되므로 성인의 판별이 어려울 때가 있다. 그런데 상기 규장질 화성암 내에 산출되는 홍주석은 변성 기원과는 다른 암석학적 특징을 가지므로 성인이 불명할 때는 이를 판별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 이론적으로 규장질 화성암의 홍주석은 변성기원, 마그마기원, 교대변성기원의 3종류로 분류된다. 변성기원은 홍주석이 형성될 때 용융상이 포함되지 않으며 생성환경에 따라 4개형으로 구분된다. 마그마기원은 홍주석 형성에 필수적인 용융상이 포함되며 4개형으로 구분된다. 교대변성기원은 용융상은 없고 유체상이 존재하며 드물다. 형성될 때 암석으로부터 Ca-Na-K가 수성유체에 의하여 제거되어야 한다.

□ 규장질 화성암 내 홍주석의 성인을 판단하는 기준(입도, 입자 형태, 결정군, 백운모와의 조직관계, 포이물 관계)은 각각 단독으로 유력한 분석력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조직과 화학의 두 기준이 일치될 때 또는 두개 이상의 기준이 집합적으로 일치될 때 훨씬 유력한 성인 분석력을 가지므로 홍주석의 성인을 결정하는 기준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

□ 규장질 화성암 내 홍주석의 누대구조는 ① 동심원형 누대(concentric zoning) ② 부채꼴형(sector) 누대 ③ 진동형(oscillatory) 누대 ④ 조각상(patchy) 누대의 4개형으로 구분된다.

□ 따라서 규장질 화성암 내 홍주석의 암석학적 특징을 성인별로 더욱 체계적으로 연구해 나가면 홍주석의 성인을 판별하는 효과적인 기준을 설정할 수 있고 홍주석의 발생과 성인연구에 좋은 암석학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Clarke, DB; Dorais, M; Barbarin, B; Barker,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5
권(호)
46(3)
잡지명
JOURNAL OF PETR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441~472
분석자
이*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