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의 레이저하이브리드 용접기술(Laser-Hybrid Welding of Ships)
- 전문가 제언
-
□ 가스 메탈 아크용접(GMAW)/레이저 빔 하이브리드 용접은 아크용접에 비해 용접입열량이 크게 줄고 용접속도는 용가재 와이어를 사용하는 레이저 빔 용접에 비해 2배 정도로 빠른 효과를 가져와 조선 용접에 매우 효과적이다.
□ 현재 선진국에서는 하이브리드 용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용접장치와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있어 가까운 장래에 하이브리드 용접 기술이 조선을 비롯한 중화학 장치용 구조물의 제작에 폭 넓게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레이저/GMAW 하이브리드 용접에서는 많은 양의 금속증기가 발생하여 플라스마실딩 효과와 아크의 안정성을 높여 주고 증기압 또는 표면장력과 같은 각종 힘들이 많이 작용하여 키홀을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 하이브리드 용접부의 품질을 높이고 용접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핵심 용접공정 변수의 분석, 용융 풀이 거동 플라스마 현상 분석, 열 변형 해석 및 제어,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과 야금학적 특성 분석, 그리고 용접부의 신뢰성 평가 등에 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고출력, 고효율, 양호한 빔 특성, 작은 용적률 등의 특성을 갖고 있는 고출력 파이버 레이저와 기존의 아크 용접을 동시에 사용하는 레이저 아크 복합용접 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핵심장비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개발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 조선 산업에서 세계의 선두 그룹에 속해 있는 우리나라는 레이저하이브리드 용접 가공기술과 같은 첨단 생산기술을 개발하고 연구 성과를 적극 활용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여기에서 제공하는 “선박의 레이저하이브리드 용접기술”에 대한 정보는 레이저하이브리드 용접 기술을 국내 조선소에 보급하고 활용하는데 유익한 자료이다.
- 저자
- Staufer Herbert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83(6)
- 잡지명
- Welding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9~43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