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MS 디바이스의 내환경/고신뢰성 집적화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연구보고서는 MEMS디바이스를 위한 실리콘과 여러 이종재료 간의 효과적인 접합을 위해 고진공 쳄버에서의 표면활성화법을 채용하여 접합특성과 응용가능성을 탐색한 내용을 담고 있다.
□ Sensor MEMS 등에서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고 있는 MEMS디바이스는 실리콘웨이퍼와 이종재료, 또는 동종재료웨이퍼를 직접 접합할 때 고온열처리방법을 이용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디바이스의 손상문제가 제기되어왔다.
□ 이번에 일본의 산업기술총합연구소 기계시스템연구부문 연구그룹은 진공 중에서 증착(sputter etching)에 의한 웨이퍼 표면활성화를 통해 목표로 하는 상온접합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이 연구에서 핵심적 내용은 표면활성화법에 의한 디바이스조립을 위해 고정밀 위치결정기구가 부착된 진공접합장치의 개발이다. 이 장치를 통해 동종 및 이종 간 웨이퍼접합을 시행하고, 백금(Pt)과 실리콘의 접합계면 웨이퍼접합강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실증했다.
□ 이 연구결과는 2003년 10월 “이종재료접합체 및 그 접합방법”의 명칭으로 특허 출원되었다(출원번호 : 특원 2003-344286, 출원인 : Hitachi금속, 산업기술총합연구소 공동).
□ MEMS디바이스제작에서 접합(bonding)과 패키징(packaging)은 핵심기술이며, 생산코스트 중에서 비율이 가장 높다. 크게 보면 웨이퍼와 기계가동부의 접합에 의해 MEMS디바이스가 출현하기 때문이다.
□ 최근 연구 붐이 조성되고 있는 국내 MEMS기술 분야의 실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진공 내에서의 표면활성화를 통한 웨이퍼접합기술의 응용연구를 적극 검토하고 산학공동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 저자
- TAKAKI Hidegi, MATSUMOTO Sohei, MAEDA Ryutar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2004)
- 잡지명
- NEDO기술정보Databas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28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