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MEMS 산업의 기술개발 전략에 관한 조사

전문가 제언
□ 1990년대 미국의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유럽의 MST(Microsystems Technology)에 대응하여 가공기술 위주의 마이크로머신프로젝트를 추진했던 일본이 최근 MEMS의 기술과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 배경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나노기술 개발의 한 전략으로서 마이크로에서 나노로 접근해 가는 top-down 접근방식의 중요성에 따른 것이고, 또 하나는 MEMS와 MST의 분야가 기존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여 새로운 미래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대하고 있는 점이다.

□ 후자의 경우를 대비해 일본 정부는 RF-MEMS(고주파 MEMS), 광MEMS(또는 MOEMS), Sensor-MEMS 등 3분야에 중점투자 전략을 수립하여 R&D를 추진하고 있다.

□ MEMS의 산업을 위한 하부 구조가 상대적으로 후진적 상황인 일본의 경우, MEMS의 기기 설계 소프트웨어의 외국 의존, 제조 설비의 일부기업 편중, 중소 벤처기업의 MEMS에 대한 투자 여건의 미성숙, 전문엔지어의 부족 현상 등을 타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을 이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다.

□ 특히, MEMS의 설계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고가의 제조설비에 대한 부담으로 MEMS의 사업에 참여를 꺼리는 기업을 위한 파운드리 서비스 네트워크의 조성과 젊은 MEMS를 위한 엔지니어의 양성이 핵심적 과제로 제기된다.

□ 국내에서도 MEMS의 기술개발 활동이 라이프사이클 상 초기 도입단계를 지나고 있다. 그러나 MEMS의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제조설비와 전문엔지니어 육성, 파운드리 서비스 체제형성 등 산업여건은 거의 조성되어 있지 않는 상황이지만, 최근 벤처형 MEMS의 기업들이 출현하고 있다.

□ 정부의 R&D 프로그램에는 MEMS를 위한 연구개발 과제들이 단위과제 형태로 반영되고 있다. 이를 특정 전략분야로 통합하여 집중 투자하고, MEMS를 위한 기업지원과 MEMS를 위한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정책추진이 요구된다.
저자
Nippon Steel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2004)
잡지명
NEDO기술정보Databas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151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