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 전달계 이상과 질환(Relationship between diseases and cellular signaling abnormality)
- 전문가 제언
-
□ 암은 그 다양한 발생원인 중 신호전달 체계의 교란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새로운 항암제 개발의 주된 목표물의 하나가 된다. 신호전달경로의 중요 매개체(mediator)들이 밝혀짐에 따라, 이를 목표로 하는 천연물 성분과 같은 새로운 항암제 개발이 주목받는 연구분야로 부상하고 있다.
□ Tyrosine kinase 활성은 여러 인체 종양에서 그 증가가 관찰 되는데 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길항 물질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예를들어, SU-101은 혈소판유래 증식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의 tyrosine kinase에 대해 선택적인 길항제로 작용하며, 현재 신경교종(glioma)을 대상으로 임상실험 중이다. 암유전자 단백산물인 trk-β의 tyrosine kinase에 대한 선택적 길항제인 CEP-751등의 특이성 길항제가 개발 단계에 있다.
□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루프스,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만성 염증 질환과 패혈증 쇼크와 장기이식의 거부반응과 같은 급성 염증질환들은 많은 환자와 심각한 증세에도 불구하고 아직 적절한 치료법이 부족한 상황이다. NF-kB는 면역반응이나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다양한 인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전사인자로, 류마티스 관절염의 시작과 진행과정시 염증관련 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NF-kB의 활성 조절은 만성 및 급성 염증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최근 항염증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부신피질 steroid제제의 항염증 작용이 NF-kB의 활성화를 방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약물들은 세포내 NF-kB 저해단백질의 발현을 촉진하고, 활성화된 NF-kB의 작용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금까지 prostaglandin 합성의 저해제로 알려져 왔던 aspirin과 작용기전을 알 수 없었던 salicylate가 NF-kB의 활성화를 억제하며, 이는 NF-kB 활성효소인 IκB 인산화 효소(IKK)의 활성도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NF-kB와 관련 분자들은 염증과정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여러 가지 항염증제의 표적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저자
- Isao Kitaji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33(3/4)
- 잡지명
- 임상화학(J7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35~341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