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에 대한 고나도트로핀 수용체의 발현조절((Topics in Reproductive Hormones and their Receptors) The Regulation of Gonadotropin Receptor in the Ovary)
- 전문가 제언
-
□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일차적인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 등은 뇌하수체(전, 후엽)의 호르몬 분비(LH, FSH)를 조절하고 이들은 다시 고환, 난소등의 내분비선을 자극하는 계통적 신호전달체계(Cascade system)를 가지고 있다. 1902년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는 세크레틴이 발견되면서 1905년 내분비선의 이들 물질이 호르몬이라 명명되고 최근에는 내분비 호르몬인 엔도크린 뿐만 아니라 국소 호르몬인 오토크린, 파라크린을 포함하여 많은 수의 호르몬이 발견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해당 호르몬 수용체들이 세포막이나 세포질 및 핵 내에서 발견되면서 이들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급격히 진전되고 있다.
□ 주로 세포막에 존재하는 수용성 호르몬의 수용체와 세포질이나 핵 내에 존재하는 지용성 호르몬의 수용체는 이들 수용체의 수나 다른 인자들에 의해 조절억제나 또는 조절증진이 일어남이 알려지고 또한 이들 수용체가 여러 조직에 광범위하게 존재함으로서 혈액을 통하여 표적조직이나 표적세포에 이르는 호르몬의 역할이 유전자의 단백질 발현과 함께 관련지어 생각해야만 생명현상을 규명할 수가 있게 되었다. 더욱이 하나의 하위 호르몬이 여러 상위 호르몬에 의해 분비된다는 사실도 이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 덴마크의 한 연구보고에 의하면 정액 1ml당 평균 정자수가 1940년 11,300만 마리에서 1990년에는 6,600만 마리로 45%가 감소했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는 최근 환경호르몬이나 지구 온난화에 의한 남성정자수의 감소에 의한 것이 확실시되며 그만큼 불임의 가능성이 높아진 증거가 된다. 최근 우리나라도 자연불임률이 10~15% 정도로 매우 높다는 보고가 나와 있는데 이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매연이 에스트로겐을 감소시킴으로써 고나도트로핀 호르몬의 증가와 함께 쌍둥이의 출산율 증가 등 비정상적인 호르몬 분비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므로 환경오염에 대한 국제적인 예방과 대책이 인류의 종족 유지를 위하여 금세기에 반드시 해결해야 할 가장 주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 저자
- Yuki Omori ; Kazuto Nakamura ; Takashi Minegi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33(3/4)
- 잡지명
- 임상화학(J7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20~326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