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용체 LGR 리간드(Ligand)의 발견과 기능(Discovery of the relaxin receptor)

전문가 제언
□ 이 보고서는 일본의 유학생이 미국 Stanford대학에서 수행한 생식영역의 호르몬과 수용체의 최근 연구 성과를 해설한 보고서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Stanford대학에서는 1998년 이전부터 황체형성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 수용체의 클로닝(cloning)에 성공하여 LH, 여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수용체의 시그널 전달기구의 해명을 수행하고 있었다. 1998년, 게놈 해독이 부분적으로 진척되는 중에 수용체를 연구하고 있던 실험실에서는 Gene Bank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리간드의 알지 못하는 수용체(orphan receptor)를 클로닝하고 있었다.

□ 이 실험실에서 1998년, LH, FSH, 갑상선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수용체와 유사한 수용체(LGR4, LGR5)를 클로닝하였다. 이 새로운 수용체는 LH, FSH, TSH수용체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긴 N말단세포외영역의 Leucine rich repeat 특징에 의하여 Leucine rich repeat G protein coupled Receptor(LGR)라고 명명하였다. 게놈해석이 진척되는 중, 1999년 4월경 릴랙신(relaxin: 자궁 이완인자) 수용체인 LGR7의 전체 염기서열을 클로닝하고, 2000년 2월경 LGR8의 전체 염기서열을 클로닝 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리고 2001년 7월 LGR7과 LGR8이 릴랙신 수용체임을 밝혔다.

□ 이 보고서가 기초의학에 관심 있는 독자의 참고자료가 되리라 믿는다.
저자
Koji Nakabaya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33(3/4)
잡지명
임상화학(J714)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98~1004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