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분열 비적법을 이용한 연대 측정(A Review on the Fission Track Dating Method)
- 전문가 제언
-
□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막이나 폴리카보네이트막 등에 하전입자를 조사(irradiation)시킨 후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에칭하면 방사선의 비적에 따라 흠집(etch pit)이 생기며 이것을 관측함으로써 하전입자(주로 중하전입자)가 검출된다. 일반적으로 비적검출기(track detector)라고 부른다.
□ 비적검출기는 알파입자나 중성자 선량계(dosimeter)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 붕소(10B)나 리튬(6Li)이 들어있는 우라늄 박막(foil)을 비적검출기와 밀착시켜 둘러싼다. 여기에 중성자를 조사하면 10B(n,α)7Li 또는 6Li(n,α)3H 핵반응이 일어나 알파비적이 생기고 이를 검출함으로써 중성자 선량이 구해진다.
□ 238U의 자발핵분열에 의해 생기는 핵분열비적(Fission Track, FT)은 중하전입자인 핵분열편(Fission Fragment, FF)에 의한 것이어서 알파비적보다 크다. 광물 속에 남겨진 FT는 오랫동안 남아있게 된다. FT에 의한 연대측정의 특징은 238U의 중성자유도 핵분열이 거의 없다는 것과 반도알파(recoil α)의 비적은 FF의 그것에 비해 매우 작아 FT에 의한 연대측정에서는 무시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 비적검출기는 중성자 선량계 등 방사선 측정 목적으로 많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FT에 의한 연대측정법 연구가 비교적 부진한 편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이 분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고유의 고고학 시료 및 지질학 시료에 대한 연대측정은 물론 이 분야 기초과학 발전에 원자력과학기술이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 방사선은 어디 곳에나 있으며 우리는 자연방사선에 노출되어 살고 있다. 근래 우리나라 일부 국민이 보이는 방사선에 대한 과민반응은 방사선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한 사실에도 원인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방사선을 직접 및 간접적으로 가시화하는 장치나 기구가 방사선의 정보를 알리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FT에 의한 연대측정법은 한층 의미 있는 기술이다.
- 저자
- Tohru DANHARA ; Hideki IWANO ; Tetsu YOSHIOK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67(6)
- 잡지명
- 일본사진학회지(D14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38~943
- 분석자
- 김*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