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진필름으로 뉴트리노의 상대적 질량을 규명하는 OPERA 실험(The OPERA Experiment Which Reveals the Mass of a Neutrino with a Photographic Film)

전문가 제언
□ 뉴트리노는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소립자의 하나로 우주 생성의 신비를 간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뉴트리노는 전하를 띄지 않은 입자로서 그것과 쌍을 이루는 전자, 뮤온(Muon), 타우(Tau) 입자에 따라 각각 전자형, μ형, τ형이 존재한다.

□ 1998년 일본은 Super Kamiokande 실험을 통하여 μ형 뉴트리노가 τ형 뉴트리노로 변화하며, 따라서 뉴트리노가 질량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으나 그 당시의 실험장치에는 τ형 뉴트리노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가 설치되지 않아 확인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 연구에 대한 공로로 Koshiba Masatoshi(小柴昌俊)교수가 2002년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 유럽연합이 스위스 제네바 근교에 설립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는 세계 각국의 대학 및 연구소와 공동으로 τ형 뉴트리노를 검출함으로써 뉴트리노가 질량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검증할 목적으로 OPERA 실험을 2006년 6월부터 실시할 예정으로 준비를 하고 있다.

□ 일본은 뉴트리노의 연구에 있어서 세계에서 가장 앞서 있으며, 이 실험에서 일본은 τ형 뉴트리노를 검출할 수 있는 원자핵건판의 개발 및 제작, 뉴트리노 반응에서 이 원자핵건판에 생성되는 비적의 화상처리장치 및 τ형 뉴트리노를 식별하여 분석하는 핵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기초과학에 있어서 독자적으로 가지고 있는 대형 실험장치로는 포항공대의 방사광가속기와, 현재 건설이 추진 중인 토카막 핵융합장치인 K-STAR에 불과하다. 따라서 외국에서 실시하는 대형 실험에 공동연구자로라도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저자
Toshiyuki TOSHI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67(6)
잡지명
일본사진학회지(D146)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351~1358
분석자
이*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