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라스틱 비적검출기 CR-39에 의한 오토라디오그래피(Autoradiography with Plastic Track Detector CR-39)

전문가 제언
□ 방사선을 가시화(visualize)하는 방법으로는 안개상자(Wilson cloud chamber)와 기포상자(bubble chamber)도 있으나 이들은 분석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autoradiography는 radiography의 자동화기술이 아니라 방사선을 필름이나 비적검출 대상물에 직접 조사하여 영상을 얻는 분석기술이다.

□ 비적의 효과적 검출을 위해 Cellulose nitrate(CN), Polycarbonate(PC), CR-39 등의 검출감도를 비교 연구한 결과, 가장 효과적인 것은 열경화성 수지이며 Columbia Resin 39번인 CR-39 [diethylene glycol bis(allyl carbonate)]였다. 또한 CR-39의 carbonate기 대신 sulfonate기를 도입하고 CR-39와 공중합시켜 얻은 SR-39(20) 공중합체도 전반적으로는 CR-39의 감도보다 좋지 못하였다.

□ 비전도성 고체인 이들 폴리머가 하전입자에 의해 절단되는 부분은 (CH2-CH2)부분이 아니고 ether결합(-C-O-C-)이나 ester결합(-O-CO2-)이라고 생각된다.

□ 붕소중성자포획치료법(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BNCT)은 일본과 미국 등에서 뇌종양치료를 위해 개발되고 있으며 이미 상당한 치료 이용실적도 쌓았다. 최근 우리나라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에도 BNCT시설이 완공단계에 있으므로 조만간 실용될 것으로 본다. 이에 따라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 CR-39를 이용하는 autoradiography기술의 연구개발과 이용이 절실히 요망된다.
저자
Masami FUJI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67(6)
잡지명
일본사진학회지(D14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10~714
분석자
김*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