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네트워크 관리 기술(Home Network Management)
- 전문가 제언
-
□ 초고속 인터넷 접속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인터넷의 활용 범위가 일상생활의 기본적 환경인 가정 내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 가전 기기들을 홈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게임기, PC 등을 기반으로 서로 연결되어 편리한 삶, 안전한 삶, 윤택한 삶, 행복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 홈 네트워크는 외부의 인터넷과 연결되는 외부 네트워크, 내외부 네트워크 간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홈 게이트웨이/홈서버, 이더넷, 전화선, 전력선, 무선 등으로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홈 네트워킹, 홈 네트워킹의 기능이 추가된 정보기기 및 정보 가전을 제어하여 상호 연동시키는 미들웨어 등으로 구분된다.
□ 홈 네트워크의 서비스는 홈 오토메이션과 같은 제어 서비스 중심에서 PC 및 ADSL 기반의 초고속 인터넷 중심의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심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또한, 유비쿼터스 홈과 센서의 지능화 추세에 따라 센서 간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센서 네트워크와 RFID 기술을 중심으로 홈 네트워크가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 새로운 기능의 창출, 장해 복구 등의 문제가 예상됨에 따라, 홈 네트워크 운용 관리는 상호 운용성, 네트워크 구성, 시큐리티 및 서비스 관리, QoS 관리 등의 기술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홈 네트워크 관리 기술은 더욱 발전되어야 한다.
- 저자
- Ikuo YODA ; Ryutaro KAWAMU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87(12)
- 잡지명
- 전자정보통신학회지(A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76~481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