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세스 네트워크 관리(Access Network Management)
- 전문가 제언
-
□ 액세스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자 한 사람당의 정보량(상향 전송 속도)이 통신 사업자 측(하향 전송 속도)에 비해 훨씬 적어, 상향과 하향의 전송을 1개의 전송매체에 다중화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운영도 간편해진다. ADSL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에 의해, PON(Passive Optical Network)은 파장 분할 다중화(WDM)에 의해 방식은 다르지만 다중화하여 디지털 신호를 양방향으로 보낸다.
□ 액세스 네트워크는 1대의 통신사업자 측의 장치에 수많은 사용자 측의 기기가 접속되어, 비대칭 운영을 하고 있다. 이를 이용해 사용자 측 기기의 기능을 간이화하고, 통신사업자 측 장치의 기능은 고급화하여 과제 해결에 이용한다.
□ NTT의 본문은 위의 액세스 네트워크의 특징을 액세스 네트워크의 회신방식에 의한 시험 및 감시, 고장점 분별방식, 그리고 고가의 시험설비의 공용(共用) 등 과제 해결에 활용하는 방안을 잘 정리, 소개하였다.
□ ADSL/VDSL이 세계적으로 조기 정착, 안정화가 이루어진 우리나라는 책임 분계점의 분별, 경보 전송 등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 수준도 한국통신의 경우, 본문 수준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는 수준이다.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상 좀 문제가 있었으나, 모뎀, DSLAM 등의 통신장비 국산화 시절, 대체에 따른 트러블로 곧 안정화되었다(2003년 DSLAM의 경우 고장률이 0.2%를 보인 예도 있었다).
□ 세계적으로 앞선 액세스 네트워크용 광 인프라를 우리나라가 보유하고, 신축 아파트에서도 세대당 100Mbps의 FTTH(Fiber to the Home; 광대역통합망)가 적용되는 건설이 줄을 잇고 있다. 다만 광부품, 광장치, 광소재 등 다년간의 기초과학이 필요한 영역에서는 뒤져 있다. 화합물 반도체만 발광 소자를 만들 수 있다는 통설에 실리콘 반도체로 도전하는 세상에 네트워크 관리상에서도 매우 편리한 액세스 네트워크의 광화를 앞당기고자 노력하는 정부와 우리의 젊은 영재들에게 기대하는 바가 크다.
- 저자
- Hiroshi UNO ; Yasumi MATSUYU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87(12)
- 잡지명
- 전자정보통신학회지(A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77~182
- 분석자
- 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