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희박용액으로부터의 다이아몬드성장(Growth of High Pressure Synthetic Diamond from Highly Dilute Solution)
- 전문가 제언
-
□ 그 간의 용매법에서 주로 쓰이던 철족금속(鐵族金屬)을 벗어나서 탄산염 등 비금속물질이나 동(銅) 같이 탄소를 거의 용해하지 않는 물질 중에서도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다이아몬드 결정성장 기술의 발전에 있어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새로운 용매는 용해도가 극도로 낮기 때문에 성장속도도 매우 느리고 크기가 큰 결정을 얻기가 쉽지는 않지만 성장조건에 따라 특이한 결정성장형태와 성장방위가 나타나고 있다. 다양한 용매의 종류, 성장조건 및 형태학적 특징을 통해 다이아몬드의 성장 메커니즘의 다각적인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 철족원소를 중심으로 한 용매에서는 불순물의 첨가가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많은 신규용매의 출현은 다양한 불순물의 첨가 가능성을 제공하여 주었다. 다이아몬드의 개발에 있어 폭 넓은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다이아몬드의 결정성장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 앞으로도 새로운 용매 개발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성장조건의 연구와 더불어 보다 크고 격자결함이 없는 결정의 성장, 성장 시간의 단축 등 과제가 남아있다. 앞으로도 많은 연구 영역의 여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신규용매에 의한 다이아몬드 결정성장은 아직은 초기단계이므로 기초적 연구로부터 실용화에 이르기까지 다이아몬드 본질의 규명과 응용분야의 확대에 적극적인 연구의 참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Hisao Kan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31(4)
- 잡지명
- 일본결정성장학회지(N09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836~861
- 분석자
- 김*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