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간세포이식의 현황과 전망:혈우병의 차세대치료(lHepatocyte transplantation and liver tissue engineering as a new generation therapy toward liver diseases)

전문가 제언
□ 사람의 간은 복강의 우상복부에 위치하고 일부를 제외하고는 흉곽에 싸여 있는 큰 기관이다. 간은 대사기능을 통해 몸에 필요한 영양소와 물질을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흡수된 음식물을 여러 조직과 기관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간은 몸에 필요한 물질을 만들기도 하고 이러한 물질을 운반하고 흡수하는데 필요한 요소와 물질을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물질을 만들고 보관하기도 한다. 잘 알고 있는 몇 가지만 들어보면 담즙, 알부민, 콜레스테롤, 효소와 혈액응고제 같은 여러 가지 단백질이 있다.

□ 이렇게 중요한 기관이 한번 손상을 받으면 회복하기가 어렵고 그 일부가 손상을 받아도 잘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간질환을 치료하는 약물은 여러 가지 있으나 최종단계에서는 간이식이 가장 효과적으로 보고 있다.

□ 간이식의 역사는 외국에서도 40년 정도에 지니지 않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0년 내외로, 지금까지 약 250명 정도가 이식을 받고 있다. 간이식은 치료의 한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세계 어디서나 간을 기증 받을 수 있는 수는 한정되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환자는 극히 적다.

□ 본 논문에서는 간세포를 분리 정제하여 치료에 활용하려는 간세포이식치료에 대한 현황과 전망을 기술하고 있다. 세포치료는 결손된 유전자를 도입하고 이식하는데 침습성을 환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그리고 세포를 신장피막이나 피부에 이식해 제2의 간 조직으로 유도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 선진국에서는 장기이식과 세포치료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거기에 따른 조직공학의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식치료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공급원을 늘이고 세포원(cell source)을 확보할 수 있는 세포이식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
Kazuo OHASHI ; Yoshiyuki NAKAJI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5(6)
잡지명
일본혈전지혈학회지(J642)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41~546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