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개방형 푸쉬풀 환기장치를 이용한 작업환경개선 사례(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by use of open-type push-pull ventilation system)

전문가 제언
□ 일본에서는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세 차례의 법령을 개정하여 유기용제, 분진 및 특정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모든 작업장에는 국소배기장치를 설치 및 운영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서 많은 환경시설업체들은 환기시설에 대한 연구를 본격화하였다.

□ 근래에는 일본의 많은 용접작업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로서 개방형 푸쉬풀 환기장치(open-type push-pull ventilation system)가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하여 그 효능이 입증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 및 실험과정을 살펴보면 용접지점에서의 포착속도(capture velocity)와 차폐가스의 플로레이트(flow rate)가 용접품질에 영향을 주었으며 용접작업자의 호흡영역내에서의 매연농도를 ACGIH(TLV)와 일본의 CLV의 한계치와의 관계에서도 검토되었다.

□ 이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후드(hood)와 국소배기장치가 개발되었으며 그 성능이 입증되었다. 그 중에서도 성능이 우수한 개방형 푸쉬풀 환기장치에 대한 실험결과는 일정기류 풍속이 0.5~0.7 m/s 범위에서 용접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작업자 호흡영역내의 농도측정 결과는 포착면 평균풍속이 0.3 m/s 이상에서 ACGIH의 TLV-TWA와 WES9007의 관리농도 이하로 판명되었다.

□ 우리나라의 예를 들면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납땜 및 용접작업 특히 도금작업자의 작업환경이 아주 열악하였으며 개선의 여지가 많이 발견되었다. 일본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의 국소배기장치가 개발되고 이용되어 작업환경개선에 도움이 되어야 하겠으며 그 중에서도 개방형 푸쉬풀 환기장치의 보급을 장려하는 방법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이에 수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처리도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환경오염방지시설의 설치와 운영이 필요하다. 환경오염방지시설의 기종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기종선정과 설계사양이 적정하도록 하여 대기환경보전법의 기준치 이하로 처리를 하여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Kiyotaka Kamifukumoto ; Takeshi Iwasa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2(4)
잡지명
공기청정(N293)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31~237
분석자
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