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푸쉬풀형 환기장치의 일본법령(Legal push-pull type ventilator)

전문가 제언
□ 국소배기장치의 설계시에는 후드, 닥트, 정화장치, 송풍기, 배기닥트의 설계관련 자료를 먼저 수집하고, 작업 특성에 맞는 후드 선정 및 공기정화 장치 설치여부를 결정한다. 그 다음에 닥트 재질과 형태를 선택하고 작업장 배치에 따른 배관과 반송속도에 따른 압력손실을 계산한다. 그리고 송풍기 정압 및 송풍량 등을 계산하여 송풍기를 선택한다.

□ 푸쉬풀형 환기장치는 도금이나 도장작업과 같이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물질의 확산방지에 유효하지만, 장치 설계시보다 초과하는 기류나 사용설비의 과부하 등에 의해 유해물질이 일단 흡인기류의 포착범위를 벗어나면 배출할 수 없다. 이 경우 유해물질 농도가 높아지고, 특히 분진의 경우에는 퇴적에 의해 2차 분진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전체 환기를 병행하면 효과적이다.

□ 유기용제 중독 예방대책으로는 환기장치 설치장소에서만 취급해야 하고, 보호의를 착용해야 하며, 산소결핍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는 유해가스용 방독마스크 등을 동시에 착용해야 한다. 방진마스크는 유기용제증기의 흡입방지에는 효과가 없으므로 착용해서는 안 된다.

□ 납 및 특정 화학물질의 취급 작업장에서는 설치된 국소배기장치의 닥트 등의 내부에 이들 물질이 퇴적하여 있기 때문에 검사 전에는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하는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 노동부는 50인 이하 소규모 사업장의 열악한 작업장 환경 개선을 위해 국소배기장치, 안전설비 등의 설치소요자금을 최고 2000만원까지 전액 무료 지원하는 「CLEAN사업장」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 법규는 어디까지나 법규이므로, 지켜야할 최소의 양심에 불과하다. 이에 각 사업장에서는 법규이상의 조치로써 산업재해에 의한 직접손실의 방지는 물론이고 근로자의 사기진작에 의한 생산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최근 급증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권 및 환경인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
Kenji Yamamuro ; Shigeji Ko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2(4)
잡지명
공기청정(N293)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26~230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