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r계를 중심으로 한 무 크롬 화성처리(Chromium Free Chemical Conversion Based Zirconium)
- 전문가 제언
-
□ 알루미늄은 표면에 치밀한 자연 산화보호막이 형성되어 높은 내식성을 나타내는 재료이나, 할로겐화물 이온 등의 존재 하에서는 그 산화피막이 국부적으로 파괴되어 알루미늄 기지가 부식 환경에 노출하게 된다. 그러므로 표면처리를 하여 내식성을 부여하여 사용하게 된다.
□ 알루미늄 화성처리방법은 이와 같은 면을 보충하는 표면처리방법의 하나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중에서도 크로메이트 처리는 우수한 내식성을 비교적 싼 가격으로 실현 할 수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크로메이트 처리 피막이나 처리액은 보통 6가 크롬을 함유하고 있어 최근에는 환경영향을 우려하여 각종 규제가 시작되고 있다.
□ 환경규제의 강화로 크롬산 크로메이트에서 인산 크로메이트로, 인산 크로메이트에서 인산 지르코늄 화성처리로 재료를 변경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료변경이 크롬산 크로메이트에 비교하여 장단점이 있으며 사용상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환경규제 강화에 대비하여 많은 기업이 이 분야에 또 다른 화성처리방법을 연구 개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 알루미늄은 재생성이 우수하고 경량 금속으로 자동차 경량화에 많이 사용되기도 하며 전자제품 등에 사용되는 등, 그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표면 화성처리에 대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어 가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절박한 실정이다.
□ 한국에서도 많은 기업이 직접 연구하기도 하고, 대학교와 관련 연구기관에서 연구를 많이 하고 있으나 알루미늄 제품의 수명향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분야임을 감안하여 혁신적 화성처리기술 개발에 전념하여 니켈, 망간, 무 인, 중금속과 불소를 대폭 감소시켜 친환경적이며, 슬러지도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표면조정이 불필요하여 처리시간도 단축 할 수 있으며, 기존 설비를 대폭 변경할 필요가 없는 단계까지 연구가 되어야 하겠다.
- 저자
- Kenji KARUB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5(11)
- 잡지명
- 표면기술 (C13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10~714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