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속비행실증 제1단계의 자율비행기술과 진입, 착륙 실증

전문가 제언
□ 고속비행실증계획 제1단계의 목적은 새로 개발한 항법유도제어계통을 사용하여 자율비행기술과, 진입․착륙기술의 실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에 사용된 실증기는 제트엔진을 장비한 길이가 약 3.8m이고, 폭이 2.96m, 높이가 1.198m이며, 무게가 735kg인 무인 비상체이다. 실증기는 제트엔진의 추력에 의해, 활주로에서 이륙한 후 약 600~5,000m의 범위까지 상승하여 미리 정해진 비행경로에 따라 비행한 후 급경사각도의 진입을 하면서 항법기기의 기능을 확인하는 동시에, 지상과의 전파링크 등 지상시스템과의 검증을 하고 자동 수평 착륙한다.

□ 여기서 새로 개발된 CDGPS/INS의 복합항법장치가 사용된다. 여기의 실증기는 자율비행기술에 의해 이륙하고, 소정의 비행경로를 비행한 후 착륙하는 보통의 무인 자동유도제어 항공기의 인상을 준다. 저자는 이 계획이 유익형 재사용 우주수송계통 개발의 일환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 계획이 일본의 우주개발계획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종국의 우주개발에 사용될 비행체의 모습이 무엇인지 알고 싶다. 그리고 미국의 유인(有人) 유익형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알고 싶다.

□ 여기의 결론에서 실증기는 CDGPS 보강형 관성항법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매우 간소한 지상설비로서 자동 이착륙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지상설비로서 최소한 기체로부터 송신되는 텔레미터의 수신 및 복조(複調)를 하기 위한 수신기, 기체의 비상계통으로 지령을 송신하는 지령송신기, 기상계측장치 및 모니터장치 등의 장비가 필요하다. 특히 이륙 시는 지상 시스템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된다. 지상설비의 최소한의 장비를 명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자
HIROSHI TOMITA, TAKESHI NISHIZAWA, YOSHIRO HAMADA, MASAHIRO OHNO (et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52(611)
잡지명
일본항공우주학회지(A083)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27~334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