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전자수준 분자표적 약의 효과 및 실용화 현황

전문가 제언
□ 본 논문의 내용은 인간의 개별 특성차이에 따른 치료가 가능한 분자표적 약의 게놈해석연구의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분자표적 약의 개발과 그 게놈해석연구는 암의 개성을 진단하여, 최적인 약제를 최적량 투여하는 개별화 의료에 직결되는 연구가 된다. 부적합한 약제의 투여를 회피할 수 있으므로 암 화학요법에 있어서 부작용의 발현율의 저하를 기대할 수 있다.

□ 실제, 연구 성과의 실용화에 대하여서도 예를 들면 감수성예측 유전자의 경우, 응용 microarray의 제작이나 유전자 수가 적은 경우에는 정량PCR(Polymerase Chain Reaction)법 등을 베이스로 한 측정 kit 등을 제작하는 것으로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분야의 의료장비의 개발이 기대된다.

□ 특히 비교적 용이하게 검체의 채취가 가능한 혈액암 등에 대하여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도 충분히 일상진료에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 활용이 기대되나 종양의 채취가 곤란한 암인 경우에는 현재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시간적으로나 의료 경제적으로 일상진료에 용이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유전자수를 짜 넣어서 면역조직 염색법 등을 응용한 약제감수성예측시스템의 구축 등에 의해서 유전자발현해석을 기반으로 한 진단방법에 대한 보다 적응력이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 약제의 유효성을 규정하는 종양에서의 유전자발현 · 변이정보는 새로운 분자표적의 발견에도 연결되어 신규분자표적 약의 탐색 효율화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게놈해석에 기초한 진단응용과 새로운 분자표적 약의 임상응용의 사이클에 의해서 개별화 의료의 실현이 크게 촉진될 것으로 기대하는바 우리나라와 같은 암 발생율이 급격히 상승되는 사회에서는 그 필요성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암 환자의 개별적 효과의 적중율도 향상되므로 증가되는 의료보험비의 효과적 운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TOMIDA Akihiro ; TSURUO Taka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6(13)
잡지명
월간약사(C211)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369~2375
분석자
박*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