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암 약물요법의 부작용감시 및 대책

전문가 제언
□ 암 약물요법에 안전성과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약제사에 의한 부작용감시와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긴요하다. 항암제로 인한 부작용은 빈도가 높고, 다양하므로 암 치료에 관여하는 약제사에게는 풍부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 그러나 경험이 풍부한 약제사의 인력자원은 한정되고 많은 암 환자가 여러 시설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암 약물요법에서 질 높은 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약제관리 지도업무에 대한 질적 향상과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 일본의 Kyushu대학병원에서는 발생하기 쉬운 부작용 항목과 시기를 예측한 처방점검, 부작용감시 기록표를 투약별로 작성해서 부작용대책기록표, 복용지도 기록표와 함께 환자보호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일부 진료 과를 대상으로 처방점검, 부작용감시의 유용성을 검토하였을 때, 발생한 모든 부작용의 약 80%가 예측하였던 부작용으로 예측한 시기에 발생하였다. 또 각각의 작업 계획표를 활용하고 이러한 기록표를 이용하여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의사에게 알리고, 간호사에게는 처방된 약제의 과학적인 근거를 알려준다.

□ Kyushu대학병원에서 활용하고 있는 암 약물요법 작업계획표는 약제사업무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환자에게 보다 자세하고 약학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임상경험이 많지 않는 약제사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일본 병원에서 약제사의 임무는 투약의 처방점검, 부작용의 감시 등으로 명확하고 약제사의 적극적인 자세도 돋보이며, Kyushu대학병원의 사전 관리제도는 우리나라에서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저자
IKESUE Hiroaki ; ITOU Yoshinori ; OISHI Ryoz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6(13)
잡지명
월간약사(C211)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351~2356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