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요법에서의 약제작용
- 전문가 제언
-
□ 항암제는 작용의 방법이나 유래 등에 의해, 대사경쟁제, 알킬(alkyl)화제, 항암성 항생물질, 식물 알카로이드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현재 항암제는 alkaylating, antimetabolites 등 7~8종을 기재로 한 30여종이 있으며, 어느 항암제를 막론하고 거의 혈액독성이 있고, 간이나 폐, 위장독성 및 신경계와 국소궤양 등의 부작용을 보이는 종류가 많다.
□ 항암제는 암세포가 분열하여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지만 동시에 정상세포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골수세포는 혈구세포의 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단히 빨리 증식하여야만 하는데, 항암제의 영향으로 혈구세포가 부족하여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키는 상황을 초래한다.
○ 예로서 소화기의 점막세포 파괴로 인한 부작용으로 구토를 일으키기도 하고 표현하기 어려운 오심과 메스꺼움 현상이 있으며, 또한 메스꺼움이나 구토증 보다는 덜하지만 소화기관에 대한 부작용으로 설사 또는 변비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본고에서는 항암제에 대한 대표적인 약물유해반응에 대응하는 약물요법의 중심이 되는 혈액독성, 소화관 독성 등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 저자
- KATO Yasuhis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6(13)
- 잡지명
- 월간약사(C21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339~2350
- 분석자
- 이*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