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용 수성도료의 방부대책
- 전문가 제언
-
□ 각종산업에서 환경오염과 오존층 파괴의 원인이 되는 원료물질의 사용을 금지 또는 제한하는 움직임은 최근 일본의 도료개발에서 환경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성도료의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실제 건축을 비롯하여 주요산업에 사용되는 주력제품은 용제형태에서 수성형태로 이동하고 있다.
□ 조막제와 동결방지제 등으로 사용되는 수%의 유기용제를 배제하는 환경친화적인 저VOC 도료는 미생물에 의한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부제를 첨가해야 한다. 미생물 중에서 녹농균을 가장 주의하여야 하며 방부제 중에서 사용가능한 pH 범위와 최소 발육저지 농도를 고려해야 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2-benzisothiazolin-3-one(BIT)이며 상호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복수방부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학교나 병원 등에서도 저 VOC 도료에 질소유기화합물계 항균제, 질소유기화합물계 조류방지제 및 염소함유 유기화합물계 조류방지제를 혼합하여 도막 형성 후에 항균, 곰팡이 및 조류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항균제는 곰팡이 방지기능을 공유하고, 조류방지 기능도 보유하는 경우가 있다.
□ 일본 페인트의 저 VOC 도료인 ECO-FLAT 70, 100 시리즈는 유기용제를 배제하고 에멀션(emulsion)합성 시에 잔존 단량체도 최대한 제거하고 있다. ECO-FLAT 100에서는 항균, 곰팡이 및 조류발생 방지기능도 추가되어 있다. 최근 새집 증후군, 화학물질 과민증 등 화학물질에 의한 피해가 사회적인 관심사로 대두되고, 병원, 학교, 식품공장, 양조공장 및 환기가 제한되는(기밀성이 높은) 건물에는 ECO-FLAT 70, 100과 같은 친환경 도료의 사용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국내 페인트업계에도 첨가제 및 광촉매 재료 개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저자
- Oogaki 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39(12)
- 잡지명
- 도장공학(L17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55~460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