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용기용 강판
- 전문가 제언
-
□ 최근 환경 호르몬 논쟁과 지구 온난화, 작업자의 환경의식 고조 등으로 환경에 대한 부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철제 용기 분야에서는 종래 내식성을 부여하기 위해 도료를 도장 하는 것이 일반적 이었으나 가장 많이 쓰이는 도료인 에폭시계와 비닐계 도료에는 환경 호르몬으로 의심되는 bisphenol-A가 들어 있어서 식품에 용출 논쟁이 격화 되고 있다. 또한 도료는 용매에 녹아 있는 용액 상태여서 도장 후 고온에서 수회 열처리 하는 공정을 거친다. 이때 발생하는 용매의 비산과 탄산가스 배출로 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
□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로 된 필름을 철판에 라미네이트 시키는 방법이 개발 되어 상당히 많은 분야에서 이미 실용화 되어 있다. 대표적인 라미네이트용 필름으로는 PET로 대표되는 polyester계와 PE 및 PP으로 대표되는 polyolefine계가 있다. PET는 기계적 물성 · 용출성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장점이 있으나 알카리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 산 · 알카리에 내구성을 갖은 필름으로는 PE와 PP가 주로 사용되나 접착성 · 내열성 등의 이유로 접착 층과 표면층 2층 구조로 된 것들이 사용 된다. 접착 층은 접착력을 높게 하기 위해 산 변성 PE와 산 변성 PP의 혼합물 혹은 랜덤 공중합체가 주로 사용 되고 표면층은 주로 PP가 쓰인다.
□ 현재까지는 용도에 따라 요구 물성은 조절 할 수 있으나 제조 원가가 높은 것이 확대의 사용의 장애이다. 향후 더 넓은 분야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조 원가를 낮추는 방향의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Suzuki 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39(12)
- 잡지명
- 도장공학(L17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48~454
- 분석자
- 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