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막물성과 실용성능

전문가 제언
□ 도막의 물성은 분자구조와 습도, 자외선, 온도 및 부하응력 등 환경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 비극성 소재에 대한 도료와의 밀착성을 좋게 하려면 비극성 소재를 불꽃 처리, 코로나 처리, 산 처리 등으로 소재의 표면을 산화처리하면 도막의 밀착성이 현저히 증가한다.

□ 무기소재에 도장할 경우는 실란결합 처리로 표면을 도료와 친화성이 있도록 하여야 도막의 밀착성이 좋다.

□ 극성기밀도, 글라스 전이점, 가교밀도 및 다성분계의 경우의 상용성 등의 고분자의 분자 구조인자가 도막물성에 영향을 준다.

□ 양호한 부착결합이 되려면 도료의 흡수성이 좋아야 하기 때문에 도료와 피도장물의 표면장력이 거의 같던가, 도료의 표면장력이 조금 낮을 때 흡수성 좋아진다.

□ 도료용 막 형성제는 비교적 저분자에서 경화에 의해 가교밀도가 증가하여 고분자량이 되고, 인장강도 및 내마모성이 증가한다. 경화방법은 열경화, 자외선경화 및 적외선경화가 있다. 경화방법에 맞추어 설계된 분자구조의 고분자 또는 프리폴리머를 막 형성제로 사용한다.

□ 도막의 부착결합의 파괴 시 고무상태에서는 응집파괴, 글라스 상태에서는 계면파괴 및 유리전이영역에서 부착강도가 극대로 된다.

□ 내부응력이 작을수록 부착강도가 크므로 실용조건을 고려한 Tg, 가교밀도 및 열팽창계수의 고분자를 이용한 도막이 되어야 한다.
저자
Satou 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39(12)
잡지명
도장공학(L17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36~447
분석자
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