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해외의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 현황
- 전문가 제언
-
□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섭취하는 식품 중에는 암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성분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항산화 작용이 강한 Vitamin-A, C, E 및 카로테노이드 등이 다량 함유된 녹황색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지 않을 경우, 각종 암에 걸릴 위험도가 높다는 사실이 그간의 여러 역학조사를 통해 입증되었다.
□ ‘70년대 중반, 미국 국립 암연구소에 근무하던 Michael sporn 등은 retinoic acid 및 기타 Vitamine-A 유도체들이 정상세포의 암세포화를 저해하는 효과를 관찰함으로써 독성이 없거나 적은 화합물을 이용한 암 예방 연구의 길을 터놓았다.
□ 암 예방 전략은 체내에서 암을 유발하는 물질의 차단, 저해하는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채소나 과일의 섭취를 권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계획의 일환으로서 미국 암연구소(NCI)의 Dierson 박사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s or designer foods)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래 현재에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능성식품 소재의 개발로 인한 암 예방 후보물질의 보고로서 식품정보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저자
- Oosawa 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3(12)
- 잡지명
- Japan Food Science(M14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1~32
- 분석자
- 이*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