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조화 위생설비의 시공기술-2004년도 기술동향
- 전문가 제언
-
□ 근래 들어 건축물의 고층화와 주거환경의 개선 및 고급화 그리고 환경에 대한 배려가 요구됨에 따라 건축물에서 공기조화 위생설비가 점하는 비율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시설과 기술 양면에서 고급화되고 있다.
□ 공조설비는 쾌적성, 에너지 절약, 환경친화성 및 기능의 다양성과 편리성 등에서 요구 조건이 증대하고 있다. 일반적인 공조설비는 열원기기, 열교환기, 열 운반장치 및 자동제어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공조 설비 신기술은 전반적인 시스템 구성과 구성기기의 성능개선 및 시스템 적용방법과 운전방법에 따라 개발되고 있으며 성능, 경제성, 환경을 고려한 새로운 재료나 공법이 개발되고 있다.
□ 본문은 일본의 2004년도의 공조위생설비의 신기술동향을 소개하는 기사 중 설비부문의 일부 신기술을 소개한 것으로, 공조용 닥트에 사용되는 새로운 재료 개발 상항, 위생배관 매설시의 간이 토류공법 그리고 일본에서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SI 주택(skeleton infill 주택)의 배수시스템에 대한 신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SI 주택은 건물을 100년 이상의 내구성을 가진 골격(skeleton)부분과 10~30년 정도기간에 변경할 수 있는 내장부분으로 분리하는 건축물로서, 내장을 필요에 따라 변경함으로서 건물의 신축을 감소할 수 있는 지구의 환경문제와 자원절약을 도모하는 주택이다.
□ SI주택의 개발은 건물의 무리한 재건축을 억제할 수 있는 신 개념으로서 공조위생 시스템 또한 이 개념에 부응하여 개발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장수명 건물 설계에 여기서 설명하는 배수시스템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고유가와 온실가스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환경친화적이고 에너지 절약형으로서 쾌적하고 편리한 공조위생설비의 개선과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관련되는 업계나 기관의 연구 개발에 참조가 될 수 있는 자료로 생각된다.
- 저자
- Nakagawa M. ; Nakamura T. ; Toyama 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78(12)
- 잡지명
-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09~1116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