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슐린 제제의 적정사용 포인트

전문가 제언
□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1994년부터 2003년 말까지 10년간의 당뇨병으로 한번 이상 병, 의원을 찾은 국민이 401만 2천명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한 환자가 여러 병원을 방문했을 때의 중복수를 얼마만큼 정확히 파악하였는지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의료기관의 검진을 받지 않는 환자를 고려해 본다면 우리나라 인구의 거의 8%수준이 된다. 4~5%수준인 서구 선진국보다도 훨씬 높은 수준이다. 아직은 우리나라 국민의 영양수준이나 비만도 그리고 노령인구 비율을 고려해 볼 때 구미인구에 비해 유병률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와 같은 반대현상은 동양인의 췌도(膵島)의 베타세포수가 백인보다 적다는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 더욱이 성인만을 놓고 볼 때 우리나라도 10%이상, 60대 이상의 인구에서는 2명중 1명이 당뇨병 환자로 추산될 정도이다. 이는 어느 성인병보다도 심각한 수준일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한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을 고려하면 국민 건강상 제1순위의 질환이라고 할 것이다. 당뇨병은 현재로서는 완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이 이 질환과 합병증의 사전, 사후 진행에 대한 예방관리일 것이다. 현재 합병증의 예방을 위해 개발된 새로운 인슐린제제도 아직 그 빈도나 제제의 종류에 따라 환자가 직접 사용하기에 많은 번거로움이 있다.

□ 이러한 국가적으로도 가장 중요한 국민의 대표적인 질병에 대해 아직도 국민 대다수는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초기에 자각증상이 전혀 없기 때문에 상당히 병이 진행될 때까지 모르고 있거나 설혹 자신이 당뇨병의 선고를 받더라도 합병증이 심각하게 나타나기 전에는 스스로 이 질환에 대한 예방에 관심을 두기 힘들며, 또한 이의 예방관리가 바로 일상 생활습관을 바꾸어야 하기 때문에 실천에 옮기기가 매우 어려우나 국가가 주도적이며, 적극적인 홍보활동으로 이를 범국민적으로 추진한다면 많은 성과를 얻을 것으로 확신한다.
저자
Asakura 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55(12)
잡지명
약국(A153)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075~3084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