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슐린 제제의 부작용과 사용상의 주의점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 중 인슐린 의존형(제1형) 당뇨병은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어 서구인(약 10%)의 유형과는 큰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당뇨환자 중 거의 99%가 인슐린 비의존형(제2형)으로 비만도에 있어서도 비비만형 당뇨병이 서구인에 비하여 훨씬 많다. 비만도가 높은 독일인이 서구인들 중에서도 당뇨병 환자가 가장 많기 때문에 비만이 당뇨와 관계가 깊다는 일반적인 서구에서의 통념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이는 동양인이 서구인에 비해 췌장의 베타세포수가 적다는 것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성인은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이례적으로 높을 수 밖에 없다고 볼 수 있다.
□ 일명 소아 당뇨병이라고 부르는 유전성인 제1형 당뇨병과는 달리 제2형 당뇨병의 원인은, 주로 문명의 발달과 풍족한 경제생활로 인한 운동부족, 과잉 영양섭취, 스트레스 등으로 40세 이후에 발병되며, 인슐린 표적세포에서의 인슐린 저항성과 췌장의 베타세포의 기능장해가 발생의 원인이 된다. 최근 세포수준에서의 인슐린 저항성의 원인을 찾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뚜렷한 인자(예; AMPK등)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당뇨병은 그로 인한 합병증의 심각성 때문에 문제가 되므로 합병증에 이르지 않도록 사전에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범국민적으로 먼저 식생활의 개선이 필요하며, 운동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출. 퇴근 시 한 정거장 정도는 걷는 것을 생활화해야 할 것이다.
□ 이러한 범국민적인 당뇨병 예방을 위한 생활화는 일상의 생활습관 그 자체를 바꾸는 것으로, 직장을 가진 일반인이 실행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면이 있다. 현재로서는 무엇보다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우선이다. 최근에는 유전자 치료나 췌도 및 췌장이식 방법 등의 치료도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허브나 한약제 등 인류의 오랜 경험에 의한 치료방법이 많이 알려져 있고, 더욱이 당뇨병에는 식생활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감안하면 한의학자는 물론 양의학자와 영양학자들이 이들 허브나 약초를 식생활의 일부로 개발하여 섭취할 수 있게 공동 개발하는 것도 당뇨병의 이환율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저자
- Inoue 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55(12)
- 잡지명
- 약국(A15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059~3068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