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신장해, 투석환자의 인슐린 치료법

전문가 제언
□ 신장해 · 투석환자는 당뇨병전문의, 신장내과 투석시설 등 복수의 의료기관에서 진찰받는 경우가 많고, 약제처방 및 치료는 전문가 상호 및 환자와 주치의 간의 정보교환이 중요한 것은 물론이고, 그 중에서 약사의 복약지도의 역할은 앞으로도 그 중요성이 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 신(腎) 장해를 합병한 2형 당뇨환자에게 즉, 시력장해, 뇌혈관질환에 의한 오른팔의 마비 등으로, 인슐린의 자기주사가 곤란하여 자가 인슐린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복약지도사항 중에 “처방된 인슐린제제(주입기)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가, 그리고 “계획된 투여 시간 · 투여 회수”를 실제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합병증과 일상생활에 기초한 복약지도가 필요하다

○ 요(尿)독에 의한 식욕저하 문제 등 자율신경 장해에 의한 당뇨병성 위(胃) 마비가 있으면, 식사량이 불안정하게 되기 쉽고, 그 결과 본인이 적절하게 인슐린을 주사해도 혈당조절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저혈당을 두려워서 인슐린주사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환자는 식사 직전에 투여되는 초속효형 제제로 변경한다든가, 식사량에 맞추어서 이들의 인슐린제제를 식사 직후에 투여하면, 잘 조절되기 때문에 이들의 의약품 정보도 주치의에게 피드백하여 함께 임상관리 방법을 추구하여야 한다.

□ 투석환자에게도 혈당조절이 양호한 사람은 생명예후도 양호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 때문에 투석환자에게 적절한 식사요법이 시행되고 있어도, 혈당조절이 불량한 경우에 인슐린치료를 적극적으로 해야한다.

○ 혈액투석실행: 인슐린은 투석성이 낮고, 투석환자에게는 인슐린분해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장시간작용형의 인슐린 사용은 피해야 한다.

○ 복막투석실행: 인슐린의 빈번한 주사로서 대체적인 대응은 가능하나 투석 bag에 인슐린을 주입하는 방법도 구미에서는 시도되고 있어 우리 의료계에서도 도입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를 뒷밭침할 임상시험이 수반되기를 바란다.
저자
Nagai S. ; Ynagisawa 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55(12)
잡지명
약국(A153)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037~3043
분석자
박*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