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당뇨병성 망막증 환자의 인슐린 요법 당뇨병성 망막증 환자에 대한 인슐린 요법 (인슐린 제제 : 2형 당뇨병에 있어서 적정 사용) 2형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 인슐린 요법 : 당뇨병성 망막증 환자에 대한 인슐린 요법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 국민 가운데 당뇨병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사람이 4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100명 중 8.3명이 당뇨 관련 질환을 앓고 있는 셈이다. 또 매년 50만 안팎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고 있어 2030년에는 국민 100명당 14.4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 25세 이상에서 성인의 실명 원인 중 당뇨병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다고 한다. 한 연구에 의하면 당뇨병 환자의 40% 정도가 망막증을 가지고 있으며 15년 이상 된 당뇨병 환자 중에는 74% 정도가 망막증을 갖고 있다고 한다.

□ 인슐린 종류도 속효성, 지속성, 혼합형 인슐린 등 다양하다. 「다림양행」에서는 노보펜, 「녹십자」에서는 노보렛이 나오며 「릴리」에서도 펜형 인슐린이 나오고 있다. 다림과 릴리에서 생산하는 것은 카트리지 장착형이어서 사용 후에 카트리지만 바꾸게 되어있고 녹십자 것은 카트리지가 없이 주사약과 펜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하면 주사기까지 버리는 방식이다.

□ 주사요법을 시행할 환자는 주사 공포심, 인슐린에 대한 이해가 지식 부족, 부적절한 양, 불규칙한 주사행위 등의 문제점을 갖게 되고 또한 장기화된 당뇨병성 망막증으로 인한 시력장애가 있으면 주사기 눈금을 잴 수 없게 되며 보호자의 기술부족 등으로 인슐린에 의한 사고가 가중된다. 이와 같은 인슐린 요법과 관련된 문제점이 있으면 자가 간호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므로 인슐린주사 자가 간호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저자
Yahata 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55(12)
잡지명
약국(A153)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023~3028
분석자
이*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