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슐린요법의 기초지식
- 전문가 제언
-
□ 식사를 하면 누구라도 일시적으로 혈당치가 높아지는데, 정상인은 혈당치 가 상승하면 췌장으로부터 인슐린 호르몬이 분비되어 정상 혈당치를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당뇨병이란, 이러한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거나 극소량이 분비되어 정상적인 혈당치를 유지하지 못해 나타나는 질환이다. 당뇨병에는, 주로 어릴 적에 발생하는 인슐린 의존형의 1형 당뇨병과, 주로 중년 이후에 발병하는 인슐린 비의존형의 2형 당뇨병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부분의 당뇨병 환자는 후자의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이 99%를 차지한다. 당뇨병의 발병은 체질적인 소인이 관계하고 있으나, 그 이외에도 여러 가지 잘못된 생활습관(과식·운동부족·비만·스트레스)이 관련되므로 평소의 좋은 생활습관 관리가 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고혈당의 상태가 지속할 경우, 포도당이 단백질과 결합하여 당화(糖化)단백질을 생성하는데 이 당화단백질은 동맥경화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계속해서 고혈당이 지속되면, 당화단백질은 알도스(aldose)환원 효소에 의해 소르비톨(sorbitol)로 전환된다. 소르비톨은 수분을 세포내로 끌어 들이는 성질이 있어 세포의 수분이 점차 세포내로 흡수되면 결국 세포는 파괴되어 버린다.
□ 당뇨병의 증상은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 당뇨병 발병 후 방치해 두면, 7~10년 후에는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부전, 말초 신경 장해, 혈관 장해 등과 같은 합병증을 수반한다. 또 다른 합병증으로는 대혈관장해로서,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뇌졸중, 폐색성 동맥경화증 등이 있으며, 그 외의 합병증으로는 감염증, 당뇨병성 회저(懷疽), 당뇨병성 골 감소증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의 실패는, 결국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을 야기하므로 당뇨병의 예방과 조기진단, 그리고 정상적인 혈당치의 유지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 저자
- Aoya 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55(12)
- 잡지명
- 약국(A15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993~2998
- 분석자
- 임*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