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속 생명의 진화론적 생태학에 대하여(Towards an evolutionary ecology of life in soil)
- 전문가 제언
-
□ 토양은 지구상에서 생물다양성의 가장 큰 보고이다. 이 속의 원핵생물은 지구상 생물다양성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지구상의 다양한 다른 형태를 유지할 책임을 지고 있다. 또한 US$ 20T이상에 해당하는 생태학적 가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우리의 가장 기본적인 생태계의 고찰과 이해는 너무 늦은 감이 있으나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 토양 속에서 작은 공간의 구조 속에서 (1)물의 흐름, (2)이동자원의 성분, (3)미세한 틈 사이에서의 유기물의 구배 등의 복잡한 분포와 상호작용, (4) 미생물학적인 군집의 생장, (5) 시스템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미세구조 등의 변화를 이해한다는 것은 참으로 신비롭고 다양한 미래 자원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 현재의 여러 토양시스템 모델은 토양 생태계에서 나타나는 복합성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토양의 진화적인 생태를 위한 이론적인 골격을 개발하는 데에서 모델이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는지가 분명하지가 않은 것 같다. 기본적으로 토양-미생물 시스템의 진화와 재생, 공생, 기생 또는 상호 협력관계 등의 구체적인 관계와 현상이 분석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Crawford, JW; Harris, JA; Ritz, K; Young, IM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5
- 권(호)
- 20(2)
- 잡지명
-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1~87
- 분석자
- 윤*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