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및 치료제로서의 합성 고분자(Synthetic polymers as drugs and therapeutics)
- 전문가 제언
-
□ 약물을 고분자화 함으로써 약물의 부작용이 적으며 약물투여 횟수가 적어진다. 고분자의 약물에 대한 용해성을 개선함으로써 유해한 약물 용해 촉진제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다.
□ 약물 결합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 폴리(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폴리알릴아민,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안하이드라이드 및 폴리아미드아민 덴드리머가 있다.
□ 약물의 고분자화에 쓰이는 천연고분자는 키토산, 알긴산, PLGA, 젤라틴, 폴리라이신이 등이 있다.
□ 미국 유타대학 약학과에서는 바이오 짝짓기(conjugation)라 불리는 분자결합을 통해 수용성 고분자에 항암제를 결합시키는 연구를 하고 있다. 항암제는 단독으로 사용 시 확산에 의해 암세포의 세포막을 거쳐 내부로 침투한다. 계속 치료 시 암세포들은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지만 고분자 바이오 짝짓기를 이용하여 암세포의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고분자 부착 항암제를 엔도시토스시스 과정을 통해 암세포 내로 침투시키는 것이다. 항암제는 결국 암세포의 핵 주변에서 약물을 방출하는 것이다.
□ 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전달 시스템은 바이오 고분자와 공유결합 또는 착물 형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를 중병분야와 연관시켜 국가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시기라고 판단된다.
- 저자
- Twaites, B; Alarcon, CD; Alexander, 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5
- 권(호)
- 15(4)
- 잡지명
-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41~455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