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EG 2000: 회고와 신 개발제품(JPEG 2000:Retrospective and New Developments)
- 전문가 제언
-
□ 본 논문에서는 JPEG 2000의 성공요인을 DWT 도입, 엔트로피 코더, 고도압축성능, 임의접근, JP2/JPX 파일형식 등 주로 기술적 우월성에서 찾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런 기술적 요인의 상위 개념에 존재하는 성공요인은 JPEG 2000이 공식표준으로 관리됐다는 점과 시장요구의 시기적절성이라고 생각한다.
□ 기술표준의 제정에는 ISO와 같은 기관에 의하여 주도적으로 관리되는 공식표준과 산업연합체에 의하여 주도되는 산업표준이 있다. 공식표준은 포괄적인 반면 산업표준은 협소하고 선별적이다. 두 표준 모두 제정과정을 관리하는 절차 규정이 잘 정립되어 있어야한다. 공식표준의 경우는 ISO와 같은 기구가 많은 대표로부터 대안을 받아 공감대와 신뢰 지원 등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하기 때문에 산업체 주도세력 간 비 호환성 위험성은 적다. JPEG 2000의 성공은 ISO와 같은 공식표준화 과정이 이런 방대한 표준을 설정하는 옳은 수단이라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한편 인터넷에서 고해상도요구로 개발됐던 FlashPix 파일형식은 JPEG 기반 다중해상도 타일 영상 파일형식으로 기술적으로는 튼튼했다. 그러나 FlashPix의 개발은 휴렛패카드, 코닥, 마이크로소프트, LivePicture 등 산업조합에 의해 주도되어 표준안 개발을 각각 시도하여 각기 다른 결과를 내놓았다.
□ 덜 개발된 기술을 조기에 표준화로 강행하면 비현실적 요구나 미성숙한 기술적 해결로 귀결되고, 때 지난 기술을 뒤늦게 표준화하면 뿌리내린 기술을 새 표준으로 바꾸는데 드는 비용이 너무 많아 표준화에 실패할 확률이 많다. 동작 JPEG의 경우 표준화가 늦어서 다른 동작 JPEG판이 시장을 선점해버렸었다. 그러나 동작 JPEG 2000의 필요에 따라 JPEG 2000 제3부가 표준으로 시기적절하게 개발되었다. 한편 고화질 전자도서관, 고화질 인터넷 업무, 무선의료분야 등의 압축표준의 향상된 요구와 JPEG의 영상 샘플 크기제한, 색상 제한, 압축성능 제한, 의료영상분야에서의 손실 없는 영상변형취급기능요구(JPEG-LS) 등은 결국 JPEG 2000 표준개발 프로젝트를 출범시켰고 본 논문에서 본바와 같이 많은 성과를 가져왔다.
- 저자
- Daniel T Le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5
- 권(호)
- 93(1)
- 잡지명
- Proceedings of IEE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2~41
- 분석자
- 신*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