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굴곡에 강한 단일모드 광섬유의 액세스 네트워크에의 적용(Performance of Bend-insensitive Single Mode Fiber and its Application to Optical Access Networks)

전문가 제언
□ 정보통신 매체로서 광섬유가 개발된 이래 유리광섬유는 놀라운 정보통신 속도, 간섭 없는 품질, 작은 치수 등으로 구리통신케이블의 영역을 단숨에 석권하였다. 그러나 옥내의 좁은 공간 내에서는 유리광섬유 특유의 Micro Bending에 따른 손실 증가로 구리케이블인 UTP 케이블에게 아직도 경쟁력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었다.

□ 옥내뿐만이 아니라, 달리는 멀티미디어통신 공간인 자동차 내부에서도, 곡률 반경과 경제적인 전송속도 면에서 유리한 POF(Polymer Optical Fiber)가 물밀듯이 유리광섬유의 빈 영역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 유리광섬유의 최고의 전송 특성에 걸 맞는 Fusion Splicing의 경우, 긴 접속시간과 어려운 기술로 POF의 강력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 유리광섬유는 사용 환경 상 OH 흡수(吸收) (또는 습기에 대한) 문제가 있어 Hermetic Sealing 등이 나날이 강화되어도 문제로 남아 있다.

□ 종합적으로 유리광섬유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Last one Mile에서 풍부한 가요성과 손쉬운 접속방법, 그리고 튼튼한 기계적 강도의 POF에게 강력한 도전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 이러한 유리광섬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7.5mm의 곡률 반경으로 액세스 네트워크에의 적용을 가능케 한 이 기술은 정보통신 세계에 대한 큰 공헌이라고 할 수 있다.

□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유리광섬유의 Fusion Splicing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기계적 접속의 손실 문제는 당장은 큰 문제가 아니더라도 폭증될 수요자에게는 근본적 부담이며, 좁은 공간 내에서 구리케이블이나, POF 등과 경쟁하려면 HALF의 개선 등을 비롯한 혁신적 연구개발이 계속 필요하다. 실내의 홈 네트워크를 위한 무선통신 기술과 Photonics 시대를 앞당겨야 한다는 것 등은 여기서 논외하기로 한다.
저자
Itaru Sakabe et al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5
권(호)
(59)
잡지명
SEI TECHNICAL REVIEW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2~37
분석자
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