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프랑스와 미국의 과학인력 양성정책 및 경력분석(National science training policy and early scientific careers in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전문가 제언
□ 현대사회에서는, 과학기술발전이 국가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연구개발투자의 증진과 우수한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양성이 중요하다.

□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경우 과학기술분야의 연구개발을 위하여 정부는 물론 산업체에서도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그 투자액은 매년 늘어나고 있다. 선진국은 현재 평균적으로 GDP 대비 약 2.5%를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 국가 경제발전을 근본적으로 도모해 나가기 위해서는 연구개발비의 증액도 중요하지만 첨단 과학기술분야의 연구개발을 수행할 양질의 과학기술자를 길러내고 이들을 적재적소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 이 논문을 보면 세계 경제에서 1위와 4위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과 프랑스는 모두 과학기술분야의 박사급 고급두뇌 인력양성에 꾸준히 노력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점은 프랑스의 경우는 쓸모 있는 박사학위 소지자를 배출하기 위해 박사과정에 있는 학생 개개인에게 국가가 직접 장학금을 지급한 반면, 미국의 경우는 관련지도교수의 연구 활동에 연구조원 등으로 참여토록 하여 학교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을 택한 점이다.

□ 현재 우리나라도 GDP 대비 2.5% 정도의 연구개발비를 과학기술분야에 투자하고 있으며, 이를 좀 더 효율적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2004년에는 이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과학기술부장관을 부총리로 격상하고 국책연구개발 업무를 증대하고 있다. 국책연구개발비 중 일정액을 교육훈련비로 책정하여, 첨단 과학기술분야를 공부하는 대학원학생들에게 장학금으로 지급하여 박사학위 소지자를 배출하게 되면 국내에서 필요시 되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과학기술자가 양성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측면에서 이 논문은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Monica Gaughan and Stephane Robi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4
권(호)
33(4)
잡지명
Research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569~581
분석자
전*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