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에서 생태계와 인간건강에 관한 통합체제(A framework for the integration of ecosystem and human health in public policy: two case studies with infectious agents)
- 전문가 제언
-
□ 일반적으로 생태계가 인간건강에 미치는 요인들은 개별적으로 생각하고 각종 보호정책을 수립하였다. 특히 전염병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각종 자연 현상에 대한 데이터들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방법론에서 본다면, 생태계에 대한 기본 개념이 현재까지는 통합적이지 못했다.
□ 인구의 점진적인 증가 추세, 급격한 도시화에 의해서 생기는 지나친 개발 정책, 고도의 산업사회 발달에 따른 천연자원의 낭비, 이에 따르는 자연 훼손, 그리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생태계 움직임 같은 여러 가지 요인들이 새롭게 발견된 전염성 질병에서 복잡하게 연관되었다.
□ 특히, 급속하게 확장되는 도시화는 전통적인 전염병 확산에 대해서 실질적인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연구결과 밝혀졌다. 예를 들면, 시골로부터 도시로 인구가 이동함에 따라서 결과적으로 시골과 도시 관계가 거의 연결된 형태로 나타났다. 그래서 지금까지 전통적으로 진행되었던 시골과 도시의 전염병에 대한 대응조처는 새로운 개념으로 접근하여 해결 가능하게 되었다.
□ 지금까지 별로 주목 받지 못했던 질병들이 새삼스럽게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인간건강에 위험성을 주고 있다. 그 중에서 최근 크게 문제가 된 광우병에 대한 연구는 여러 가지 시사하는 점이 많았다.
□ 농업 생산성을 지나치게 높이고, 가축 사육을 위해서 필요한 공간과 가축사료 생산에 필요한 만큼 충분한 초배지가 확보 되지 못했다. 그래서 추가적인 가축사료로 도축된 생체조직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초식동물에게 동물성 사료를 먹이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광우병의 확산이라는 매우 큰 전염병 재앙이 발생하게 하였다.
□ 이러한 사례연구는 공공정책에서 경제적인 사항과 토지에 대한 이용률을 위시하여 가축사료에 대한 상관관계 같은 제반사항이 중요도를 높이고 있다. 농업, 식품, 건강, 그리고 지구환경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공정책 수립에 새로운 개념과 모델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 저자
- Hillel S. Koren and Douglas Crawford-Brow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95(1)
- 잡지명
- Environment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92~105
- 분석자
- 구*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