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소기업의 환경성과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역할(The role of support programmes and policies in improving SMEs environmental performance in developed and transition economies)

전문가 제언
□ 본 연구는 2001년 2월 런던 지역에서 수행되었던 서 유럽 SMCs의 실험조사에서 나온 결과를 토대로 하고 있다. 런던을 기초로 한 조사에서는 환경관계, 환경성과개선으로부터 인식되는 제약사항, 환경을 돌보기 위한 주요 장려책, 그리고 SMC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의 가장 좋은 환경 이행을 증진시킴에 있어서 지원 구상(initiatives)과 주무부서(주무관청, bodies)의 역할에 대해 점검했다.

□ 소규모 기업들이 환경의 영향을 고려할 때 환경영향에 대한 인식 수준은 낮은 편이다. 환경을 개선하는데 주요 장애물은 시간(55%), 재정(45%), 기술(32%), 그리고 무관심과 무지(27%)라고 기업은 보고하고 있다. SMEs에게 무슨 지원이 필요하냐고 물었을 때 응답자 대부분은 정보와 전문가의 의견이었다(70%). 환경문제가 대두 되었을 때 어떤 부서(기관)와 접촉을 시도했는가를 물었는데 가장 많은 응답자가 지방부서(관청)를 지목(30%)했다.

□ 그래서 중소기업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지방 부서를 최대로 할용하고 인쇄물로 checklists를 만들어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영국 내에서 환경 개선을 위한 주 운영 수단(driver)은 사회 책임으로 나타났고, 주로 인지되는 이득(main perceived benefit)은 회사 이상적인 표상(image)을 개선(회사 이미지 개선)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사항 중 과도기 및 개발도상국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 우리나라의 극소(極小) 내지 중소기업은 재정도 열악하고, 인력도 부족할 뿐 아니라 정보도 밝지 못하여 환경을 생각할 겨를이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 나마 정부의 구상(initiatives)도 열악하며, 프로그램 개발도 미비한 상태이고 법은 엄격하여 실천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현재 선진국으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중소기업이 환경 개선업무를 하는 것이 기업 표상(image)을 높이고 에너지와 물자를 절약하여 폐기물을 줄임으로써 기업이익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계획이나 도구를 구상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중소기업이 환경개선사업에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도구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을 실행한 결과에 대한 연구 조사 및 분석이 필요하다.
저자
Polina Pimenova and Rita van der Vors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4
권(호)
12(6)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549~559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