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물류 그것은 정책 입안자의 지속 가능성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인가?(Urban logistics??how can it meet policy makers’ sustainability objectives?)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는 영국 내 3개 도시지역에서 7개 상이한 기업을 선정하여 이들 기업의 화물수송 운영을 조사하여 당시 실태를 구현(具現)하였다.
□ 이들 운영에서 4가지 정책 수단에 즉 저배출지역, 혼잡비 부과, 무게 제한, 그리고 시간제한에 대한 잠정적 운영, 재정, 그리고 환경 면에서 각 기업의 예상하는 반응을 얻고, 그 기업의 현 운영 차량의 자료에서 그들의 영업행위를 변경 및 적응 정도를 조사해 보았다.
□ 정책 수단은 화물수송 업체에 다르게 영향을 줄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적은 수의 기업이 참여했고 많은 양의 운행차량이 관찰되었지만, 정책 수단에 대해 기업의 반응에 대한 예측이 가능했고 그리고 각 기업에 대해 다르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했다.
□ 저배출지역, 혼잡비 부과(혼잡 통행료), 무게제한, 그리고 시간제한과 같은 정책 수단은 도시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정책이 되지 못한다. 저배출지역, 혼잡비 부과(혼잡 통행료), 무게제한, 그리고 시간제한과 같은 정책 수단은 일반화하는 연구보다는 특정 도시의 교통 흐름을 원활히 하고 도로나 교량을 보호하며 나아가 물류비용을 줄이고 환경을 보존하는 측면에 주안을 두고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저배출지역은 극히 차량통행이 잦아서 공해가 심하거나, 엄격히 자연환경을 보호할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며, 혼잡비용의 부과(혼잡 통행료)는 해당 도로에 통행차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다. 무게제한은 도로와 교량의 유지기간을 늘려 잦은 보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며, 시간제한은 혼잡시간(rush hour)에 교통을 줄여서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 위 네 가지 정책을 실행했을 때 파생되는 효과는 도시 규모와 형태, 도시가 점하고 있는 지리적 형태 그리고 시민생활의 형태에 따라 틀리게 마련이다. 그래서 특정 도시에 적용했을 때 차량 흐름과 교통량(traffic volume)의 변화, 유통비용 변동, 도시환경의 변화, 그리고 시민생활의 질(質) 등을 평가한 후에 정책 수단을 적용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Stephen Anderson, Julian Allen and Michael Brown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5
- 권(호)
- 13(1)
- 잡지명
-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71~81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