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공급망에서의 환경정책통합을 위한 지표(Indicators for environmental policy integration in the food supply chain (the case of the tomato ketchup supply chain and the integrated product policy))

전문가 제언
□ 세계적으로 각국에서의 환경의 질이 갈수록 나빠지는 가운데 특히 식품생산 및 소비와 관련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압력을 많이 받는 것은 식품의 공급망이 재배에서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긴 것이 많고 경우에 따라서는 국제화로 인해 몇 개국에 걸쳐 있는 식품도 있기 때문으로 최근에는 식품환경문제가 정책 입안자들의 주의를 끌고 있다고 하겠다.

□ 식품의 환경정책통합을 위한 환경성능 지표의 선정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나 일반적으로 토마토케첩의 사례연구에서와 같이 재배를 위한 농사(토양이용, 토양침식, 농약사용 등), 가공(자원생산성증대), 운송(운반효율), 소비자(에너지 사용 등), 수명완료(소모 후의 포장폐기물 처리) 등으로 분류하여 정책의 목표를 수립하고 관리지표, 실행지표를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할 것이다.

□ 환경정책통합에서 식품망의 환경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환경정책이 현존하는 다른 정책들과 조화를 이루고 있어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일종의 환경적인 도전이기 때문에 독실하고 다방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비록 식품시장의 국제화, 소비자의 선택성의 중요성, 안전과 환경문제에 대한 소비자와 매스컴의 관심, 식문화나 식습관의 차이 또는 변화 등에 의해 식품공급망은 영향을 받지만 이와 함께 환경정책통합 전략이 연계된다면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 이 글은 스웨덴에서의 토마토케첩의 공급망과 통합제품정책에 대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식품공급망에 있어서의 환경정책통합을 위한 환경지표개발에 관한 내용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식품에 의한 환경압력이 점차 커가고 있는 상황에서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학계나 연구실 및 생산기업이 중심이 되어 우리 고유의 식품 환경통합정책안을 낼 수 있도록 참고하는데 상당히 유익할 것으로 본다.
저자
Verginia Mintchev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5
권(호)
13(7)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717~731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