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프로젝트 관리(Social Project Management)
- 전문가 제언
-
□ 사회프로젝트 관리의 정의는 “광범위한 사회전체의 영역에 걸친 사회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는 관리이고, 사회가치의 창출과 증대가 그 달성목표이다. 사회프로젝트의 실현에 있어서는 제제도, 각종 서비스와의 연대에 의한 전체 최적의 실현과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계획의 책정과 다양한 스테이크홀더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유연한 대응이 요구된다.”
□ 아직까지의 조직 상하관계의 부분 최적사회를 탈피하여, 전체 최적사회의 실현을 위한 차세대의 사회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회프로젝트가 성행하고 있다. 이들은 장기간에 걸친 프로젝트 운영, 다양한 스테이크홀더의 합의형성, 자금의 조달 등 사회프로젝트 특유의 과제를 내포하고 있다. 광범위한 사회전체를 대상영역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로서 사회프로젝트 관리를 정부중앙관서에서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일본은 2차대전 후 많은 사회적인 프로젝트를 성공리에 실현함으로써 현재의 번영을 구축하였다. 급속한 발전을 성취하고 있는 중국에서는 많은 사회프로젝트들을 프로젝트 관리를 구사함으로써 진행시켜 나가고 있다. 경쟁 환경이 세계화되는 가운데서, 경쟁력을 보다 강화하여 우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에서 아직까지 쌓아올린 강점들을 확인하고, 그것들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프로젝트 관리는 바로 지금까지 실행해온 사회프로젝트 관리의 노하우를 체계화하여 경쟁력의 원천으로 삼는 것이다. 사회프로젝트의 하나하나를 성공시킴으로써, 한국의 전체 최적의 추진과 새로운 가치의 창조를 도모하여 한국사회를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Teruyoshi Kawai ; Takahiro Chi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6(5)
- 잡지명
- Journal of the Society of Project Management(J66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5~10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