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커뮤니티의 정보화프로젝트 관리(The Project Management for Computerization in a Local Community)
- 전문가 제언
-
□ 지역주민이나 기업 등이 커뮤니티 레벨에서 적극적이고 자주적으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과제를 해결하면서, 보다 풍요로운 생활과 비즈니스를 실현하기 위한 인프라스트럭처를 정비하고, 지방자치체의 행정정보화에 머물지 않고, 지역의 교육기관이나 의료기관, 기업, 비영리조직(NPO), 가정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지역미디어와 융합을 꾀하면서, 지역의 생활 및 비즈니스정보가 유통되는 지역정보화의 실현이 기대되고 있다.
□ 지역정보화를 통해서 형성되는, 주민과 기업, NPO, 교육기관, 의료기관, 행정 등으로 구성되는 e-커뮤니티의 운영에 프로젝트 관리기술이 적용되면 섬세한 행정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지원자의 참가나 지역경제의 진흥 등에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겠다.
□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성공의 열쇠는, 우수하고 열성적인 코디네이터의 존재이다. 스테이크홀더 간을 중립적인 입장에서 이해조정을 하면서, 높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가지고 커뮤니티의 참획을 촉구하고, 필요에 따라 외부의 힘을 활용하고, 최신정보 기술동향을 숙지하여, 참획멤버의 힘을 결집시키는 능력을 가진 인재가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프로젝트 코디네이터이다.
□ e-커뮤니티에서는 시민은 고객이 아니고, 주체이다. 커뮤니티 활동을 프로젝트에 대응시켜보면, 시민은 고객, SI업자, 엔드유저, 프로젝트 관리자 또는 출자자라는 다면성을 갖는 존재인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각자들만의 입장에서, 발언하고, 행동하여, 통제가 불가능해진 경우에는 커뮤니티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없다. 한국에서도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지역 커뮤니티의 정보화 네트워크를 관리해 나가면 좋겠다.
- 저자
- Taichi Naka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6(5)
- 잡지명
- Journal of the Society of Project Management(J66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7~22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